[ DNS 서버의 개념 이해 ]
[ Windows XP Professional에 네임 서버(BIND9) 구축하기 ]
1. ns.jobdahan.dnip.net으로 서비스 받기
2. 네임서버 구축 환경 설명
3. Windows용 DNS 서버 소프트웨어 BIND9.4.0 다운받기
4. BIND9 설치하기
5. BIND9 설정 파일 만들기1) 윈도우 시스템 변수의 Path 지정
2) rndc.key, rndc.conf 파일 생성
3) named.conf 파일 만들기
4) named.ca, localhost.zone, named.local 파일 만들기
5) jobdahan.dnip.net.zone 파일 만들기6. BIND9 동작 테스트
7. BIND9의 named 데몬을 서비스에 등록하기
8. IP 주소가 변경되었을 때의 DNS 서버관리
이번 강좌 차례는 위 목차의 5. 4) named.ca, localhost.zone, named.local 파일 만들기 입니다.
[ XP에서도 DNS 서버를 돌려보자! (4) - 설정파일 만들기2 ]
4) named.ca, localhost.zone, named.local 파일 만들기
a) named.ca 파일 만들기
강좌 첫 부분 DNS 개념에서 설명했듯이 모든 네임서버는 반드시 최상위 도메인인 루트도메인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바로 named.ca 파일에 루트도메인에 대한 정보가 들어가 있어야 합니다.
아래 링크된 INTERNIC 사이트에 접속해 보면 여러 개의 파일들이 보이는데, 그 중에서 루트도메인에 대한 정보가
들어가 있는 named.root 파일만을 다운로드하여 C:\APM_Setup\Server\DNS\etc\ 디렉터리에 저장 한 뒤에
파일명을 named.ca로 바꾸어주면 됩니다.(클릭한 뒤 쪼께 기다리셔야 창이 열립니다...-.-;)
루트도메인파일 다운로드 링크 : ftp://ftp.rs.internic.net/domain/
루트도메인 파일(named.root => named.ca)은 1년에 2번 정도 위의 URL에서 다운받아 업그레이드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This file holds the information on root name servers needed to
; initialize cache of Internet domain name servers
; (e.g. reference this file in the "cache . <file>"
; configuration file of BIND domain name servers).
;
; This file is made available by InterNIC
; under anonymous FTP as
; file /domain/named.root
; on server FTP.INTERNIC.NET
; -OR- RS.INTERNIC.NET
;
; last update: Jan 29, 2004
; related version of root zone: 2004012900
;
;
; formerly NS.INTERNIC.NET
;
. 3600000 IN NS A.ROOT-SERVERS.NET.
A.ROOT-SERVERS.NET. 3600000 A 198.41.0.4
;
; formerly NS1.ISI.EDU
;
. 3600000 NS B.ROOT-SERVERS.NET.
B.ROOT-SERVERS.NET. 3600000 A 192.228.79.201
;
; formerly C.PSI.NET
;
. 3600000 NS C.ROOT-SERVERS.NET.
C.ROOT-SERVERS.NET. 3600000 A 192.33.4.12
;
; formerly TERP.UMD.EDU
;
. 3600000 NS D.ROOT-SERVERS.NET.
D.ROOT-SERVERS.NET. 3600000 A 128.8.10.90
;
; formerly NS.NASA.GOV
;
. 3600000 NS E.ROOT-SERVERS.NET.
E.ROOT-SERVERS.NET. 3600000 A 192.203.230.10
;
; formerly NS.ISC.ORG
;
. 3600000 NS F.ROOT-SERVERS.NET.
F.ROOT-SERVERS.NET. 3600000 A 192.5.5.241
;
; formerly NS.NIC.DDN.MIL
;
. 3600000 NS G.ROOT-SERVERS.NET.
G.ROOT-SERVERS.NET. 3600000 A 192.112.36.4
;
; formerly AOS.ARL.ARMY.MIL
;
. 3600000 NS H.ROOT-SERVERS.NET.
H.ROOT-SERVERS.NET. 3600000 A 128.63.2.53
;
; formerly NIC.NORDU.NET
;
. 3600000 NS I.ROOT-SERVERS.NET.
I.ROOT-SERVERS.NET. 3600000 A 192.36.148.17
;
; operated by VeriSign, Inc.
;
. 3600000 NS J.ROOT-SERVERS.NET.
J.ROOT-SERVERS.NET. 3600000 A 192.58.128.30
;
; operated by RIPE NCC
;
. 3600000 NS K.ROOT-SERVERS.NET.
K.ROOT-SERVERS.NET. 3600000 A 193.0.14.129
;
; operated by ICANN
;
. 3600000 NS L.ROOT-SERVERS.NET.
L.ROOT-SERVERS.NET. 3600000 A 198.32.64.12
;
; operated by WIDE
;
. 3600000 NS M.ROOT-SERVERS.NET.
M.ROOT-SERVERS.NET. 3600000 A 202.12.27.33
; End of File
b) localhost.zone 파일 생성
localhost라는 도메인의 IP 주소는 127.0.0.1임을 설정한 파일로써
이 주소는 외부가 아닌 내부 즉, 자기 자신을 가리키는 것으로써 루프 백(loop-back)을 의미합니다.
각 지시자들과 항목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리눅스 전문서적의 도메인네임서버 항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어느 네임서버에서나 localhost는 127.0.0.1이라는 IP 주소를 가리켜야 하므로 아래의 내용과 똑같이 입력하여
localhost.zone 파일을 작성하면 됩니다.
작성을 마친 다음 C:\APM_Setup\Server\DNS\etc\ 디렉터리에 localhost.zone 이라는 파일명으로 저장합니다.
C:\APM_Setup\Server\DNS\etc\localhost.zone 파일의 내용
$TTL 86400
@ IN SOA @ root (
42 ; serial (d. adams)
3H ; refresh
15M ; retry
1W ; expiry
1D ) ; minimum
IN NS @
IN A 127.0.0.1
[ localhost.zone 파일의 유효성 확인 ]
파일 내용 입력 과정에서 실수하지 않았는지 named-checkzone.exe 유틸리티를 이용하여
내용의 유효성을 검사해 보기로 합니다.
cmd 창을 열고 cd 명령으로 현재 디렉터리를 유효성 검사 대상 파일 localhost.zone이 있는
C:\APM_Setup\Server\DNS\etc로 이동시킨 후 아래와 같은 명령으로 localhost.zone 파일의 유효성을 검사합니다.
( 현재 디렉터리를 \etc 디렉터리로 이동시키지 않으면 named-checkzone.exe는 Path가 걸려있는 \bin 디렉터리에
있기 때문에 경로(path)를 적어주지 않아도 되지만 유효성 검사 대상 파일 localhost.zone은 매번 검사할 때 마다
경로를 적어 주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etc 디렉터리가 아닌 곳에서는 다음과 같이 명령을 실행시켜야 되겠지요?
C:\Documents and Settings\hats>named-checkzone localhost C:\APM_Setup\Server\DNS\etc\localhost.zone )
다른 에러 메시지가 나오지 않고 아래와 같이 표시되면 정상적으로 잘 작성되었음을 나타냅니다.
명령 프롬프트(cmd) 창
C:\APM_Setup\Server\DNS\etc>named-checkzone localhost localhost.zone
zone localhost/IN: loaded serial 42
OK
c) named.local 파일 생성
localhost 도메인의 Inverse Domain에 대한 정보를 설정한 파일로써
IP 127.0.0.1은 localhost 도메인을 가리키게 설정하고 있습니다.
각 지시자들과 항목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리눅스 전문서적의 도메인네임서버 항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파일 역시 별도로 수정할 필요가 없으며, 이 내용 그대로 입력하여 작성한 뒤
C:\APM_Setup\Server\DNS\etc\ 디렉터리에 named.local 이라는 파일명으로 저장합니다.
(주의 : localhost 뒤에 있는 “.”을 반드시 넣도록 하십시오.)
C:\APM_Setup\Server\DNS\etc\named.local 파일의 내용
$TTL 86400
@ IN SOA localhost. root.localhost. (
1997022700 ; Serial
28800 ; Refresh
14400 ; Retry
3600000 ; Expire
86400 ) ; Minimum
IN NS localhost.
1 IN PTR localhost.
[ named.local 파일의 유효성 확인 ]
cmd 창을 열고 cd 명령으로 현재 디렉터리를 C:\APM_Setup\Server\DNS\etc로 이동시킨 후
다음과 같은 명령으로 named.local 파일의 유효성을 검사합니다.
아래와 같이 표시되면 정상적으로 잘 작성되었음을 나타냅니다.
명령 프롬프트(cmd) 창
zone named.local/IN: loaded serial 1997022700
OK
이제 C:\APM_Setup\Server\DNS\etc\ 디렉터리에 named.ca, localhost.zone, named.local 파일 3개가 추가되어
6개가 되었을 것입니다.
앞으로 개별 도메인 설정 zone 파일(예 : jobdahan.dnip.net.zone) 1개만 더 만들면 됩니다.
이 것으로 이 번 강좌를 마치기로 합니다.
지금까지
5. BIND9 설정 파일 만들기
4) named.ca, localhost.zone, named.local 파일 만들기
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은
5) jobdahan.dnip.net.zone 파일 만들기
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다음 강좌를 기다려 주시길...
다음 강좌에서 뵙도록 하겠습니다.
질문이 있으면 댓글로 올려 주시면 성의껏 답변 드리겠습니다.
그럼, 다음 강좌까지
안~뇽~!
'OS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즈 서버 터미널서비스 포트 설정 (0) | 2008.05.06 |
---|---|
[scrap] 이것만 알면 CVS프로젝트 100%--winnt용 (0) | 2008.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