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mcat 5.X]

기본 한글 처리 방법

 메소드

한글 처리 방법 

 GET  server.xml 파일의 <Connector>태그에 URIEncoding="EUC-KR" 속성추가
 POST  request.setCharacterEncoding("EUC-KR");


Tomcat 5.X이상의 버전에서는 톰켓의 conf폴더에 존재하는 server.xml파일에서

URIEncoding 속성으로 한글 설정이 가능합니다.


[URIEncoding 사용 예시] - server.xml 파일 내용중 일부

<!-- Define a non-SSL HTTP/1.1 Connector on port 8080 -->
<Connector acceptCount="100" connectionTimeout="20000" disableUploadTimeout="true" enableLookups="false" maxHttpHeaderSize="8192" maxSpareThreads="75" maxThreads="150" minSpareThreads="25" port="8080" redirectPort="8443" URIEncoding="EUC-KR"/>


<!-- Define an AJP 1.3 Connector on port 8009 -->
<Connector enableLookups="false" port="8009" protocol="AJP/1.3" redirectPort="8443" URIEncoding="EUC-KR"/>

위처럼 Connector에 URIEncoding 속성을 설정할 경우 URL이나 FORM의

GET방식으로 전달되는 파라메터상의 문자열 인코딩이 EUC-KR방식으로 전달됩니다.


한글 처리의 경우 ClueRequestFilter 필터나 자체 제공되는 필터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Ajax를 위한 한글 처리]

Ajax 프로그래밍시 필수인 XMLHttpRequest 객체의 경우

웹 페이지 상단에 설정하는 인코딩 설정과 상관없이 무조건 UTF-8형식으로 요청합니다.


따라서, Ajax프로그래밍시에는 프로그램 자체를 UTF-8 형식으로 작성하는게 편합니다.

주의할 것은 코딩상에서 인코딩 타입이 UTF-8이라면 실제로 작성되는 파일 자체도

UTF-8형식으로 저장해야지 오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UTF-8형식만 사용할 예정이라면 위 톰켓의 한글 설정을 EUC-KR이 아니라

"UTF-8"로 설정하면 기존처럼 데이터를 주고 받으면 되므로 코딩이 간단하게 해결됩니다.

부득이 서버 설정은 EUC-KR로 설정하고 일부 페이지만 UTF-8로 주고 받아야 한다면

전달하는 자바스크립트 측에서 encodeURIComponent()메소드로 엔코딩후 전달하면 됩니다.

Ajax의 경우 서버및 클라이언트 모두 UTF-8일 경우 정상 동작하지만

그외의 조합은 브라우저및 WAS등 상황에 따라서 의되한 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아래는 톰켓 5.5버전에서 server.xml에 euc-kr을 설정한 경우의 한글 처리 예제입니다.

b1.jsp에서 한글을 입후 b2.jsp를 호출해서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 확인하는 간단한 예제입니다.

[server.xml] Apache Tomcat 5.5.23 + JDK 1.6.0_02-b06

<Connector acceptCount="100" connectionTimeout="20000" disableUploadTimeout="true" enableLookups="false" maxHttpHeaderSize="8192" maxSpareThreads="75" maxThreads="150" minSpareThreads="25" port="8080" redirectPort="8443" URIEncoding="EUC-KR"/>


<Connector enableLookups="false" port="8009" protocol="AJP/1.3" redirectPort="8443" URIEncoding="EUC-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