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기술에서 말하는 네트웍은, 통신선로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일련의 노드 또는 연결점들을 의미한다. 네트웍은 다른 네트웍과 연결될 수 있고, 서브 네트웍을 포함할 수 있다. 가장 보편적인 네트웍 형상이나 구성에는 버스형, 성형, 고리형 등이 있으며, 네트웍의 공간적인 거리에 따라 LAN, MAN 그리고 WAN 등으로 나뉘어진다.
보통 주어진 네트웍은 다음의 내용에 따라 그 특성이 결정된다
- 데이터 전달 기술의 형식에 따라, (예) TCP/IP망, SNA망 등
- 음성을 전송하는지 데이터를 전송하는지, 아니면 그 둘다를 전송하는지에 따라,
- 누가 그 네트웍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예) 공공망이나 사설망 등
- 통상적인 접속방법에 따라, (예) 다이얼업망, 교환망, 전용망, 가상접속망 등
- 물리적인 링크의 형식에 따라, (예) 광섬유, 동축케이블, 구리선
..대형 전화망이나 인터넷과 같은 기간망을 쓰는 네트웍들은 다른 회사와 시설이나 교환망을 공유함
..으로써 더 커다란 네트웍을 이룬다.
Stream ; 스트림
스트림이란 VOD와 같은 영상물이나 음악과 같은 디지털 자료들의 데이터 흐름을 말한다.
Ethernet ; 이더넷, 이서
이더넷은 가장 광범위하게 설치된 근거리통신망 기술이다..
가장 보편적으로 설치된 이더넷 시스템은 10BASE-T 이라고 불리며, 10 Mbps의 전송속도를 제공한다. 고속 이더넷이나 100BASE-T 등은 전송속도가 최고 100 Mbps까지 제공되며, 일반적으로 10BASE-T 카드가 장착된 워크스테이션들을 지원하기 위한 근거리통신망의 백본으로 많이 사용된다. 기가비트 이더넷은 1,000 Mbps 정도로서, 보다 높은 수준의 백본 속도를 지원한다.
Backbone ; 백본
백본은 자신에게 연결되어 있는 소형 회선들로부터 데이터를 모아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 대규모 전송회선을 말한다. 지역적인 차원에서 백본은 근거리통신망에서 광역통신망으로 연결하기 위한 하나의 회선 또는 여러 회선의 모음이다. 또는 근거리통신망 내에서는 거리를 효율적으로 늘리기 위한 회선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빌딩 간을 연결하는 회선 등).
인터넷이나 다른 광역통신망에서의 백본은 장거리 접속을 위해 연결되어 있는 근거리 및 지역망 선로들의 모음이다. 각 접속점들은 네트웍 노드 또는 전송데이터 교환 스위치라고 부른다.
Edge ; 접속망 장비 ; 엣지
End User가 사용 하는 장비를 "CPE"라고 한다. 이 CPE장비가 접속 하는 장비는 "Access"장비 라고 한다.
이 Access 장비의 상부 장비는 "Edge"장비 라고 한다. 그리고 모든 Edge 장비들이 접속 하는 장비가 "Core"장비라고 한다. 즉, CPE - Access 장비 - Edge 장비 - Core 장비 순서이다.
Edge 장비의 한가지 예로 ATM 네트웍에서는 기존의 근거리통신망(이더넷, 토큰링 등)과 ATM backbone 사이에 위치하여 데이터를 라우팅하는 Edge Router 장비가 있다. ATM backbone은 대학 캠퍼스 구내의 네트웍일 수도 있고 광역통신망일 수도 있다. 즉 Edge Router 는 기존 LAN 트래픽(frame)을 ATM 트래픽(cell)으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포함하여, 기존 LAN 통신체계를 ATM 통신체계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는 라우터라고 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Edge Router 는 Core Router와 대응되는 Boundary Router, Access Router를 의미하기도 한다. Core Router가 패킷을 호스트나 서버로 바로 전송하는데 반하여 Edge Router는 Remote 지역의 트래픽을 모아서 Core 네트웍으로 전달시키거나 자기가 속한 네트웍을 다른 영역의 네트웍과 연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 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코드화하는 기법으로, 위상과 진폭을 조합하여 64개 비트 패턴 가운데 하나로 표시한다. QAM은 대체로 다운스트림 방향으로 사용되는 변조 기법이다. (QAM-64, QAM-256)
QAM-16은 업스트림 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게 돼 있다. 숫자는 기호 당 코드 포인트의 수를 가리킨다.
QAM 배열에서 QAM 레이트나 포인트의 수는 <비트의 수/기호L>의 2제곱으로 계산할 수 있다.
.16-QAM이란 16가지의 진폭과 위상이 다른 signal element를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각각의 signal element를 구분하려면 4 비트가 필요하며 하나의 signal element가 4비트 정보를 가지는 의미이다.
예) 6MHz대역에서 128-QAM변조를 했을 때 데이타전송량
초당 6,000,000개 파형/sec x 7 bits/파형 = 최대 42 Mbps
예) 27MHz 위성: 21.3 Msymbols x 2bits/signal = 42.6 Mbps
(27Msymbol 을 모두 사용하지 않음: 21.3Msymbol을 사용)
source data는 channel coder에서 소비하는 비트를 제외하고 약 37.275 Mbps사용
bps(Bits Per Second) ; 초당 비트 전송 속도 ; 데이터전송속도 ; 데이터전송량 ; 비피에스
데이터 통신에서 bps[비피에스]는 컴퓨터 모뎀과 전송매체의 데이터 속도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척도이다. 이 용어는 bps로 표현된 속도가 매초당 송신되거나 수신된 비트 수와 같다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한 개의 데이터 비트가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bps로 표현된 디지털 전송속도 s의 역에 비례한다.
d = 1/s
때로 더 빠른 속도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더 큰 단위가 사용된다. 1 kbps는 1,000 bps이며, 1 Mbps는 1,000,000 bps 또는 1,000 kbps이다. 전화선을 이용한 모뎀은 보통 14.4 ~ 56 kbps 사이의 속도로 동작하는데, 가장 일반적인 속도는 28.8~33.6 kbps 정도이다. 케이블모뎀에서는 100 kbps 이상의 속도도 낼 수 있다. 광케이블 모뎀이 가장 빠르며, 수 M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신호의 대역폭은 bps로 표현되는 속도에 의존적이다. 약간의 예외가 있긴 하지만, bps 숫자가 높으면, 공칭 신호대역폭이 더 크다 (그러나, 속도와 대역폭은 같은 것은 아니다). 대역폭은 kHz나 MHz와 같은 표준 주파수 단위로 측정된다.
데이터 속도를 간혹 보오(baud)로 표시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디지털 신호변화가 초당 몇 번 있었는가를 측정하는 것이다. 보오, 또는 "baud rate"은 주어진 디지털 신호에서는 bps 숫자보다 항상 작다. 이 용어들은 서로 같은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흔히 서로 바꾸어 사용되기도 한다.
MHz (megahertz; million cycles per second) ; 메가헤르쯔
Hz는 교류 주파수(또는 진동수)의 단위로서 전자파의 존재를 실증한 독일의 물리학자 헤르츠(H.R. Hertz)의 이름에서 유래됐으며, 기호는 Hz로 표기함. Mega는 10의 6제곱, 즉 1백만을 나타내는 접두어다.
메가헤르쯔는 교류나 전자기파의 주파수 단위로서 1백만 헤르쯔(1,000,000 Hz)에 상당한다. 메가헤르쯔는 주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클록속도를 표현하는데 사용되며, 가끔은 고속의 디지털 데이터나 비디오신호, 그리고 확장 스펙트럼 신호를 위한 주파수대역을 측정하는 단위로도 사용된다.
1 MHz 주파수를 가지는 전자기파 신호는 표준 AM 라디오 방송 대역폭의 중심이며, 약 300 미터 정도의 파장을 갖는다. 100 MHz의 전자기 신호는 표준 FM 라디오 방송 대역폭의 중간부분이며, 파장은 약 3 미터 정도이다. 어떤 라디오 방송은 수천 MHz 이상의 주파수로 송신된다. 컴퓨터의 클록속도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현재까지는 수백 MHz 정도이다.
주파수의 다른 단위로는 1,000 Hz 또는 0.001 MHz에 해당하는 킬로헤르쯔(kHz)가 있으며, 십억 Hz 또는 1,000 MHz에 상당하는 기가헤르쯔(GHz)가 있다.
디지털신호의 대역폭은 MHz 단위를 쓰는데, 이것은 전송속도 단위인 bps와 관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대역폭이 넓으면 데이터 속도가 빠른 것이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데이터 속도와 대역폭이 정확히 같은 의미는 아니다. 5,000,000 bps의 속도로 동작하는 고속 케이블모뎀이나 광케이블 모뎀은, 명목상으로는 5 MHz의 주파수로 동작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대역폭으로 일컬어지는 숫자는 일반적으로 주파수보다는 훨씬 적은 숫자가 되는데, 그 이유는 대역폭이 단위시간당 전송되는 데이터 비트의 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각 데이터 요소들의 "변화량"과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RF (Radio Frequency) ; 알에프
Radio Frequency라 함은 우리말로 방사주파수라는 뜻이다. 보통 RF라 함은 전자파를 이용한 무선장비단을 통칭한다.
이 용어는 microwave(초고주파)라는 용어와 다소 혼란의 여지가 있는데, 사전적인 주파수 정의로는 RF는 1Ghz이하, Microwave는 300Mhz~30Ghz의 전자파를 일컫기도 한다. 하지만 실제 RF라는 용어와 Microwave라는 용어는 구분없이 혼용하여 쓰는 경우가 더 많다. 그보다는 RF라는 용어가 Microwave라는 용어의 상위 개념으로 보는 것이 더 적당하다. Microwave는 무선통신에 주로 응용되는 고주파대역 주파수를 의미하고, RF는 그러한 고주파를 이용하는 무선장비/공학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보는 것이다. 원래 RF라 하면 저주파 고주파를 통털은 개념이다. 그런데 최근 통신 주파수가 수백Mhz에서 수Ghz의 초고주파 대역으로 올라가면서 RF 개발은 거의 고주파 장비 개발로 생각되어지고 있다.
결국 RF라 함은 일반적으로 대략 100~300Mhz 이상의 고주파 무선통신 및 고주파를 이용하는 장비설계, 연구 공학분야 일체를 지칭하는 말로 정리될 수 있다. (어떤 식으로 표현하든 RF라는 개념은 비슷비슷하기 때문에 굳이 정확히 정의내리는 것은 무의미한 일일지도 모른다.)
리플 스크랩 :
현재 세계가 HTML/XML(TEXT버젼)위주의 인터넷-1의 시대가 종말을 고하고 새로운 인터넷-2시대가 도래되고 있으며 세계 선진국에서는 "21세기는 영상언어의 시대"라는 대명제 아래 Digital Convergens (Multi On Demand / Interactive Media / 대화면-고화질의 원본 데이터) 야망을 통해 세계를 지배코자 암암리에 진행되고 있다.우주+위성+지구상의 유,무선통신을 단일 RF(주파수)대역에서 강권(싹쓸이)위한 초석을 완비한 상황이다.
21세기는 RF(5Khz~300Ghz)시대이다.
케이블TV=5Mhz~860Mhz대역/셀룰러 휴대폰(SKT=800Mhz대역)/LG.KT=1.8Ghz대역/무선인터넷=2.4Ghz이며
곧 5Ghz대역으로 이동하며 위성방송=10Ghz~15Ghz로 점진적으로는 30Ghz대로 이동중이다.
바야흐로 유/무선이 RF의 시대로 세계가 놀랄 새로운 솔루션 없이는 22세기가 지나도 RF시대가 지속 될 것이다. 따라서 네트웍은 원격지=광케이블+근거리=RF솔루션으로 고착화 될 것이다.
지금 우주 신사업의 주된 핵심기술의 중추도 RF(5Khz~300Ghz)이다. 유/무선이 동일 주파수 선상에서 디지털 신호가 실린 것이죠. 현재 각종 공중파/케이블TV/휴대전화/위성방송등 21세기에 현존하는 모든 IT산업은 바로 RF의 근간속에서 커뮤니티하고 인지해야 할 것이다., 인텔(3Ghz->)및 AMD(2Ghz->)의 기본 설정도 바로 RF(주파수)가 근간이 되고 있죠!
Noise ; 노이즈, 잡음
내부잡음은 TV, 증폭기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잡음
외부잡음은 단파방송, 전기기기, 네온사인 등(모든 전파발생장치)의 장비에서 발생하는 잡음
반환 노이즈는 신호 처리 과정에서 원래 존재하는 정보를 충분히 수용할 수 없는 경우, 남겨진 정보가 노이즈가 되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반환 노이즈라고 한다. 일반적으로는 저역 정보만을 통과시키는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로 대비한다.
블록 노이즈(Block Noise)는 MPEG 형식처럼 화질 압축을 실시할 경우,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단위가 되는 사각형의 작은 블록이 화면에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이 블록 노이즈이다. 고화질을 자랑하는 DVD라도 전송 속도가 낮아지면 발생하기 쉬워진다.
SD급 / HD급 ; 에쓰디 급 / 에이취디 급
HD(High Definition)급과 SD(Standard Definition)급은 디지털 TV의 규격을 뜻하며, 화질과 영상규격에 따라 구별이 된다.
화질의 경우, 디지털 TV의 화질을 결정하는 화소(Pixel)수가 HD급의 경우는 1920x1080i, 혹은 1024x720p로 최대 200만 화소 이상의 고화질로 구현이 가능하며, SD급의 경우는 화면을 표현하는 화소수가 720x480p 나 720x480i, 혹은 640x480i나 640x480p 수준의 해상도로 35만 화소 정도의 해상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같은 디지털 방송이라도 실질적인 화질에서는 상당한 차이를 보여 주게 된다.
또한 영상 규격의 경우에는 HD급은 16:9의 규격으로, SD급은 4:3 혹은 16:9 의 규격을 가지게 된다.
SD 급과 아날로그방송의 차이는 화질에 있다고 보면 좋을듯 하다.
지금 방송 되는 아날로그TV의 주사선은 525 라인(line)에 비월주사(Interlace)이다.
이 525 라인중 모든 부분이 보여지는 것이 아니라 화면 위와 아래쪽에 수직 동기라 불리는 부분이 있는데 이 부분은 사람들이 시청하지 못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는 표현 가능한 주사선은 480라인 정도로 역시 480라인의 주사선을 가지는 SD급과 동일한 화질이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이론적인 수치이며, 아날로그방식은 전송과 수신에 있어 각종 노이즈가 유입되기에 실제 TV에서는 이보다 훨씬 미치지 못하는 해상도를 보여준다.
이에 비해 디지털 방송의 SD급은 아나로그의 방식에 비해 화면이 겹쳐 보이는 고스트 현상이나 노이즈 없이 깨끗하게 표현해 줄 수 있기에, 이런 의미에서 본다면 SD급도 일반 아날로그방송보다 선명한 화면이라 말할 수 있다.
GbE(Gigabit Ethernet) ; 기가비트 이더넷
기가비트 이더넷은 초당 1 기가비트(10억 비트)의 데이터 전송률을 가지는 근거리통신망 표준이다. 기가비트 이더넷은 IEEE 802.3에 표준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초기의 상용제품 버전들이 시장에 나와있다. 기가비트 이더넷은 기업의 백본망으로 사용된다.
기가비트 이더넷은 기본적으로 광케이블 상에서 전송된다 (동축케이블은 매우 짧은 거리에서만 이용된다).
10 또는 100 Mbps 속도의 기존 이더넷 네트웍들도 기가비트 이더넷 백본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기가비트 이더넷과 경쟁하는 기술은 ATM이다.
NMX ; Harmonic's NMX Digital Service Manager™
하모닉스사 NMX 디지털 서비스 매니저™(NMX Digital Service Manager™) 트래이드마크
Network Management System, 네트웍관리시스템
NSG ; Harmonic’s Narrowcast Services Gateway™
하모닉스사 Headend 장비 트래이드마크
Log File ; 로그 파일
로그 파일 (Log file)이란 서비스 및 실행 중인 시스템 관련 메시지를 포함하는 파일을 의미한다. 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다른 로그 파일이 존재한다. 예로 들면, 기본 시스템 로그 파일 및 보안 메시지 용 로그 파일, 크론(cron) 작업 용 로그 파일과 같은 여러 가지 로그 파일이 있다.웹서비스(홈페이지,웹사이트)에서는 접속자 정보를 기록하는 웹로그 파일이 있다.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 간이 망 관리 프로토콜 ; 에스엔엠피
SNMP[에스엔엠피]는 네트웍 관리 및 네트웍 장치와 그들의 동작을 감시, 통할하는 프로토콜이다. 이것은 반드시 TCP/IP 네트웍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Combiner ; 컴바이너
방송에서 여러 채널을 송신하거나 또는 위성방송, 공중파방송(KBS,MBC등)을 동일한 케이블로 전송할때 각 장비나 포트에서 나온 신호를 혼합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방송이 1채널로만 송출되고 다른 위성방송이나 공중파방송을 관리하지 않는 경우 이 장비는 필요 없다.
QAM Modulator가 디지털 MPEG-2 스트림들을 전송을 목적으로 RF로 변환한다면
RF Signal Combiner는 다중의 RF 신호를 결합하여 하나의 RF 신호로 전송하고
결합된 RF 시그널들은 아날로그 채널과 디지털 비디오 채널이 함께 포함하여 전송하게된다
Combiner가 출력단의 신호를 묶는 채널 혼합 장비라면 반대로 Divider는 채널을 분리하여 입력단의 신호로 보내는 장비이다.
HFC(Hybrid Fiber Coax) ; 광동축 혼합망
광 섬유와 동축 케이블을 조합시킨 케이블TV 설비의 명칭이다. 간선 부분은 광 섬유를 사용하고 노드에서 끝의 가입자 부분에는 동축 케이블을 사용한다.
각 가정까지 광 섬유를 끌어넣은 FTTH(Fiber To The Home)보다 설치비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신규 케이블 회사는 HFC망을 도입하는 곳이 많다.
고속 데이터 전송과 광대역?다채널?양방향 기능이 가능해 케이블TV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방송?통신 융합의 대표적인 인프라다.
PP(Program Provider) : 프로그램 공급자, 채널사용 사업자
TV프로그램을 제작, 공급하는 사업자 TV프로그램을 제작, 공급하는 사업자
DMC(Digital Media Center) ; 디지털미디어센터
아날로그 방송 프로그램을 디지털로 바꿔주는 기능과 서버를 관리해주는 인터넷데이터센터(IDC)기능을 통합한 케이블TV 플랫폼이다.
DMC를 통해 디지털방송이 실시되면 고화질, 다채널(1백개이상),쌍방향.데이터방송은 물론 인터넷전화(VoIP), 전자상거래, 주문형비디오(VOD), 인터넷접속(ISP) 등 각종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Headend ; 헤드엔드, Cable Head-End ; 케이블 헤드앤드 ; H/E
Cable Head-End라고도 불리는 Headend는, 케이블 TV 서비스와 케이블 모뎀 서비스를 가입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지역 케이블 TV 사무실에 있는 설비를 말한다. 케이블 TV 전송 서비스에 있어서의 headend는 프로그램의 수신을 위해 접시형 위성 안테나 까지가 포함되며, 수신된 프로그램들은 즉시 가입자에게 전달된다 (케이블 TV 회사들은 또한 비디오테이프를 틀거나 또는 자체 제작한 생방송 프로그램을 전송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모든 신호는 가입자들에게 보내지지만, 원하는 프로그램을 돈을 내고 시청할 수 있는 시스템의 경우에는 고객 측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기도 한다.
케이블 회사가 가입자들에게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headend 시설이 인터넷 접속에 필요한 컴퓨터 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Headend에 위치한 것 중 가장 중요한 요소는 CMTS라고 불리는 케이블모뎀 단말시스템으로서, 케이블 네트웍 상의 디지털 케이블 모뎀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등 케이블 가입자들에게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장치이다.
SO(System Operator) ; 케이블TV방송국
종합유선방송국, 지역케이블방송국
Subscriber ; 가입자
케이블 방송 가입자
Fiber ; 광망 ; 광 네트워크 ; 광 통신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과 이로 이루어진 네트웍
Coaxial ; 동(구리선)축망 ; 동축 케이블
동축 케이블과 이로 이루어진 네트웍
Encoding ; 인코딩
동영상 컨텐츠등을 디지털 형태의 MPEG-2 PS/TS, MPEG-4, H.264 등으로 변환하는 작업
Asset Storage ; 엣셋 스토리지
인코딩된 MPEG 컨텐츠를 추후 Asset Install 등을 통해 Decoding 하거나 컨텐츠 세부정보 등을 추출할 수 있도록 물리적 공간(Storage) 저장/보관
Content Management System ; 컨텐트 메니지먼트 시스템
컨텐츠(또는 컨텐트) 관리 시스템
Pitcher Manager ; 핏쳐 메니저
컨텐츠 전달 관리자
Pitcher Server ; 핏쳐 서버
컨텐츠 전달(전송) 서버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 씨디엔
CDN[씨디엔]이란 일종의 캐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전체 네트웍 상에 동일한 콘텐츠 내용을 복제하여 대규모 인트라넷 또는 인터넷상에 분산시켜 놓은 시스템을 말한다.
콘텐츠가 복제되어 특정 지역, 국가 또는 전세계에 걸쳐 분산 배치되면, 사용자들은 그것이 하나의 SO에 있을 때보다 훨씬 더 빠르게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컨텐츠 전송용 네트웍이라고도 한다.
Catcher Server ; 캣쳐 서버
컨텐츠 수신 서버
Admin Server ; 어드민 서버
통합 관리 서버
Global Server ; 글로벌서버 ; 광역서버
컨텐츠 분배 관리 서버
Provisioning ; 프로비져닝
서비스 관련하여 메시지등을 각종 지원 시스템 및 미들웨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달하는 시스템 통칭
SMS(Subscriber Management System/Service) ; 가입자 관리 시스템
지역가입자나 SO, 망 관리를 위한 관리 시스템을 칭하며 일반적으로 가입자 관리 시스템이라 불린다.
Billing ; 빌링
가입자관리시스템과 방송시스템, 광고시스템, STB 등과 연동되어 가입자나 지역 SO의 과금 정보를 관리한다.
CAS(Conditional Access System) ; 카스 ; 수신제한시스템
디지털 셋톱박스(STB)와 연동하여, 암호화를 통해 특정 방송물의 수신을 제한해 유료방송을 가능케 하는 장치로 방송사업자가 유료방송을 하려면 이 기능이 부가된 셋톱박스가 필요하다.
스마트카드(POD)가 수신기에 삽입되어 수신제한장치를 구동시켜서 수신기에 들어오는 암호화된 신호를 복호화시키는 일을 한다.
Giga Switch ; 기가 스위치, Gigabit Switch ; 기가비트 스위치
통신 분야에서, 스위치는 단위 데이터를 다음 목적지까지 보내기 위해 경로 또는 회선을 선택하는 네트웍 장비이다. 스위치는 루트, 즉 보다 명확히 말하면, 인접한 네트웍 지점 중 어디로 데이터가 보내져야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는 장비인 라우터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네트웍과, 루트를 어떻게 결정해야하는지에 관한 지식을 요구하는 라우터보다, 스위치가 훨씬 단순하고 더 빠르게 동작하는 장치이다.
기가비트 스위치는 초당 1 기가비트(10억 비트)의 데이터 전송률을 가지는 스위치를 말한다.
Local Server ; 로컬서버 ; 지역서버
컨텐츠 스트리밍 서버
Edge QAM(NSG)
하모닉스사의 Edge QAM H/E 장비
TSID(Transport Stream Identifier / Transmitting Subscriber Identification) ; 티에스아이디
전송 스트림 또는 가입자(STB)에 대한 인식 정보
CM(Cable Modem) ; 케이블 모뎀
CATV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여 LAN 신호로 변환하며, LAN 신호를 CATV RF 신호로 변환하여 CATV 망으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
CMTS(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 ; 씨엠티에스
가입자측의 케이블모뎀과 대응되는 장치로 케이블모뎀이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서비스 분배망(Backbone Network)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장비이다.
CMTS는 케이블 모뎀 데이터를 인터넷 데이터 패킷으로 바꾸어주는 이며 케이블 시스템 내에 로컬 데이터를 담기 위한 라우팅, 원치 않는 해킹으로부터 케이블 운영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필터링, 그리고 가입자에게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트래픽 구체화 등을 포함한 몇 가지 기능들을 제공한다.
ONU(Optical Network Unit)
SO로 부터 전송되는 광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는 기기를 말하며, 보통 SO - ONU 사이는 광케이블로, ONU와 CM은 동축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다.
ONU(Optical Node Unit)
옥외 분배노드로서 광케이블과 동축을 연결해주는 장치
Cell ; 셀
무선이동통신 서비스에서 기지국을 세워 일정범위를 커버하듯이, CATV 서비스에서 ONU를 기준으로 서비스범위(지역)를 구분하는 단위
셀 분할
하나의 셀에서, 100명이 서비스를 사용할 경우와 1000명이 사용할 경우에는 큰 속도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가입자수가 1000명이 되면 그 1000명을 100명씩 10개의 셀(공간)로 다시 분할하는 작업
BA(Bridge Amplifier) ; 브릿지 앰프 ; 분기 증폭기
CATV에서의 분기증폭기란 유선TV 방송시설에 사용되는 중계증폭기기이면서 간선에 보내진 신호의 전송파 전송손실을 보상하여 분배선에 규정레벨의 신호를 송출시키는 장비를 말한다. 분기증폭기에는 통상 4개의 분기출력단자가 있으며, 그 출력레벨은 많은 탭오프 전파의 출력을 주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간선증폭기의 출력레벨보다 높다.
TA(Trunk Amplifier) ; 트렁크 앰프 ; 간선기/간선증폭기
주간선과 간선으로 나누어지고, 헤드엔드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서비스 구역 전역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로 부문이다.
Cable STB ; 케이블 셋톱박스
디지털 케이블TV(CATV / Cable TV)용 셋톱박스(Settop-Box / STB)이며 방송국에서 케이블을 통해 각 가정으로 전송된 디지털 신호(Steam 등)를 복원해 주는 디코더 역할과 CATV와 리모콘으로 연동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및 수신제한시스템(CAS)을 탑재하여 유료방송을 가능케 하는 장치이다.
VOD Client ; 뷔오디 클라이언트 ; 주문형비디오 화면
디지털 케이블TV용 STB에 탑재되어 CATV 화면상에 VOD를 선택하고 시청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
OCAP(OpenCable Application Platform) ; 오캡
미국 디지털케이블TV 표준 방식인 오픈케이블(Open Cable)의 데이터 방송 미들웨어 규격으로 미국 케이블TV산업에서 기술 개발과 표준 연구 등을 담당하는 비영리 연구기관인 CableLabs에서 정의했다.
CA(Contents Aggregator) ; 컨텐츠 어그리게이터 ; 컨텐츠 통합 제공자
CA(Contents Aggregator, 컨텐츠 어그리게이터)는 컨텐츠 통합 제공자로서 개별 컨텐츠 제공자와의 연계를 통해 컨텐츠를 확보하고, 특정 서비스(디지털케이블서비스, 모바일서비스 등)에 종합적으로 제공한다.
CA Adapter (Contents Aggrement Adapter) ; 컨텐츠 어그리먼트 어댑터
CA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에 대하여 시청 권한을 부여 받았는지를 검토한다. 일반적으로 CA부분을 분리하여 디지털 케이블STB에 CAS와 함께 케이블카드 POD의 적응형 형태로 탑재되어 있다.
OS(Operating System) ; 오에스 ; 운영체제
여기서는 케이블STB의 운영체제를 말한다.
POD(Point Of Deployment or Cable Card) ; 피오디 ;
케이블카드POD(Point Of Deployment)는 디지털케이블TV용 셋톱박스의 핵심장치를 일컫는 용어
POD는 케이블TV 서비스 사업자가 가입자의 신원 및 이용형태 등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스마트카드 형태의 CAS를 내장한 장치로 셋톱박스에서 분리된 형태를 전제로 하고 있다.
'IT Wo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컴퓨팅 (0) | 2009.03.17 |
---|---|
용어 - 회계관련/FI (0) | 2008.08.19 |
PKI [공개키 기반] (0) | 2008.05.06 |
LDAP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0) | 2008.05.06 |
소프트웨어 형상관리 (SCM : 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0) | 2008.04.28 |